라벨이 교대통폐합인 게시물 표시

부산대-부산교대 통합 확정, 그리고 전국 교대 통폐합의 미래

이미지
부산대-부산교대 통합 확정, 그리고 전국 교대 통폐합의 미래 2027년 3월, 부산대학교와 부산교육대학교가 공식적으로 통합 출범합니다. 이미 교육부의 최종 승인을 받은 이번 통합은, 학령인구 급감과 지역 대학의 생존 전략, 그리고 교원 양성체제 혁신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이뤄진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 부산대-부산교대 통합의 구체적 내용 출범 시기 : 2027년 3월 1일 통합 명칭 : ‘부산대학교’로 일원화 운영 구조 : 현 부산대 총장이 통합 부산대 총장, 부산교대 총장은 연제(교육특화)캠퍼스 부총장으로 임명 캠퍼스 역할 분담 : 기존 부산대 캠퍼스는 산학 연계 인재 양성, 연제캠퍼스는 교원 양성에 집중 거버넌스 : 부산시, 부산시교육청 등 지역사회 인사가 참여하는 교육특화총괄위원회 신설 이 통합은 단순한 대학 합병이 아니라, 지역의 교육 수요와 산업 연계, 교원 양성의 전문성을 모두 고려한 새로운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예상되는 전국 교대-거점국립대 통합 시나리오 부산대-부산교대 통합은 시작에 불과합니다. 저출산·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 구조조정이 가속화되며, 다음과 같은 교대-거점국립대 통합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 교대 통합 예상 대학 진주교대 경상국립대 대구교대 경북대 공주교대 공주대 전주교대 전북대 광주교대 전남대 청주교대 충북대 이외에도 강원권, 호남권, 경상권 등 권역별로 2~3개 거점 교대로 통폐합하는 방안, 혹은 전국 단일 교원대학교로의 통합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경인교대·서울교대의 향방은? 수도권의 경인교대와 서울교대는 통합 대상이 어디가 될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서울대와의 통합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이 많으며, 수도권 내 타 대학(예: 경인교대-경희대, 서울교대-이화여대 등) 또는 독립적 교원대학 체제가 유지될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 교대 통합, 왜 불가피한가? 1. 학령인구 급감과 대학 생존 전략 2023년 44만 명이던 대학 신입생 규모...